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- 김주환
- 외목대
- 식물일기
- 자기목적적성격
- 아바니리버사이드
- 독서
- 아이콘시암
- 장미허브수형만들기
- 초보식집사
- 장미허브외목대
- 우당탕탕식린이
- 최적경험
- 미하이칙센트미하이
- 독서리뷰
- 방콕여행
- 장미허브키우기
- 삽목
- 식린이
- 장미허브분갈이
- 식알못
- 우당탕탕원예생활
- 미하이
- 몰입
- 몰입Flow
- 회복탄력성
- 내면소통
- 장미허브삽목
- 장미허브
- 마음근력훈련
- 쑥시암
- Today
- Total
목록독서리뷰 (4)
특별한 우리가 되어

2023년의 끝이 이제 얼마 남지 않았다:) 한 해를 마무리하며 다른 사람들에 비하면 그리 많지도 않지만 내 인생에서 가장 책을 많이 읽은 해가 아니었을까 싶다 ㅎㅎ 미리미리 책을 더 읽고 좋은 생각들을 많이 했으면 좋았을텐데 하필이면 이 때 독서의 즐거움을 깨닫다니...매우 아쉽다. 여튼 며칠 전에 잠이 안와서 급으로 보게 된 아들러 심리학 관련 매우 쉬운 책이고, 다급하게 30권 채우려고 몰아서 보자마자 정리 글을 올린당. 인생은 복잡하지 않다. 당신이 인생을 복잡하게 만드는 것이다. 자신을 바꿀 수 있는 사람은 타인이 아닌 자신밖에 없다. 이 책에서는 아들러 심리학의 몇 가지 중요한 주제들을 직장생활에서 맞닥뜨리는 순간과 연결지어 쉽게 설명하고 있다. 특히 개인적 차원의 '용기'와 '공동체 감각' ..

으 책 잘못고름 ㅋ 미하이 칙센트미하이가 저자로 떠서 빌렸는데 여러 저명인사들이 생각하는 인생의 질문을 모아놓은 책이었다. 단숨에 읽을 수 있는 책이다. 그래도 그나마 그 안에서 찾을 수 있었던 takeaways 정리해보기:) 이걸 사면 정말 행복해지나 행복 소비를 위한 질문 세가지를 물으라고 한다. 1) 다른 누군가를 위해 이 돈을 썼는가? 2) 새로운 경험을 위해 이 돈을 썼는가? 3) 좋은 시간을 위해 이 돈을 썼는가? 나 겁먹었나? 인생의 지루함을 타파하고 공포의 대상을 제거해나가는 일을 도전해라. 실패할지도 모른다거나 두려운 일에 '겁먹었나?' '그래, 그럼 해보자' 라고 대답하자. 진심으로 원하는 게 무엇인지 알고 있나? 내가 진심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일까? 나의 '본질적인 동기'는? "진짜 ..
2023.12.12 - [일상 속에서/피와살이되는독서] - 몰입 Flow : 미치도록 행복한 나를 만나다 - 미하이 칙센트미하이(1-6장) 몰입 Flow : 미치도록 행복한 나를 만나다 - 미하이 칙센트미하이(1-6장) 직장에서 한창 마음 고생하던 중에 미하이 칙센트미하이의 책을 빌리게 되었다. 내 마음을 달래고 행복을 찾을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읽어본 '몰입 Flow' 도서 정리 & 리뷰를 해보려고 한 arianataek.tistory.com 2023.12.14 - [일상 속에서/피와살이되는독서] - 몰입 Flow : 미치도록 행복한 나를 만나다 - 미하이 칙센트미하이(7, 8장) 몰입 Flow : 미치도록 행복한 나를 만나다 - 미하이 칙센트미하이(7, 8장) 2023.12.12 - [일상 ..
(책을 읽고 난 개인의 정리와 잡다한 생각일 뿐, 반박시 님이 다 맞습니다요 😂) 2023.12.04 - [일상 속에서/피와살이되는독서] - 내면명상 - 김주환 (5장) 내면명상 - 김주환 (5장) (책을 읽고 난 개인의 정리와 잡다한 생각일 뿐, 반박시 님이 다 맞습니다요 😂) 2023.12.02 - [일상 속에서/피와살이되는독서] - 내면소통 - 김주환 3,4장 정리 내면소통 - 김주환 3,4장 정리 제3장 마 arianataek.tistory.com 제6장 내재적 질서와 내면소통 6장도 아주 쉽지 않은 내용이나 내 맘대로 선택과 집중을 위해 간단하게 훑고 가기 ㅋ - 기계론적 세계관은 20세기 과학의 발전 이후 사라져가는 세계관이다.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육이나 우리의 상식은 기계론적 세계관에 머물러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