특별한 우리가 되어

오늘부터 우리집에 식물이 살아요 - 권지연 본문

일상 속에서/피와살이되는독서

오늘부터 우리집에 식물이 살아요 - 권지연

ari_ 2023. 10. 13. 00:00

식물 관련 도서를 세 권 빌렸는데 (드디어..!) 그 중 첫번째:)

권지연 작가님께서 책을 통해 알려주신 팁을 기억하고자 적어둡니다.

 

필요한 도구
1. 물뿌리개 - 입구가 좁은 것은 물줄기가 세서 흙이 파이기 쉬우므로 잔 구멍이 있는것으로
2. 원예가위 - 가볍고 잘 드는 것
3. 전정가위 - 목질화 된 줄기, 나뭇가지 자를 때
4. 숟가락 - 소량의 흙 , 장식돌 등 세밀한 작업할 때 소형 화분에 유리
5. 핀셋 - 작은 다육식물, 선인장 심을 때
6. 붓 - 식물 위에 흙이나 돌이 흩어져있는 것 정리할 때
7. 모종삽, 앞치마, 원예장갑
8. 톱 - 전정가위로 자를 수 없는 두꺼운 가지 자를 때


상단부터 장식돌-배양토-마사토-휴가토-거름망(코이어테이프로 사용 가능)

-부엽토: 미생물에 의해 부패, 분해되어 생긴 흙. 수분과 양분 많이 가지고 있고 흙과 섞어 쓰는것이 좋음
-마사토: 꼭 세척해서 사용해야한다. 고운 흙이 물과 만나 진흙이 되어 배수를 방해할 수 있음. 소립, 중립, 대립
-휴가토: 난석, 원예용 흙으로 가볍고 통기, 배수력 뛰어나다. 소립, 중립, 대립
-펄라이트: 토양 경량화, 투수성과 보수성을 높여 옥상 조경을 위한 경량토로 많이 사용된다고
그 외 바크, 수태, 숯 등

 

* 장미허브 분갈이를 찾아보면 상토+펄라이트 또는 상토+마사토가 많이 나오던데 드디어 흙 종류를 조금 알아냈음 !!!

 

식물 분류
- 관엽식물 : 이국적인 상록식물, 내습성이 강해 실내 가능, 환경 영향 적은편
- 다육식물 : 사막이나 고산 등 건조기, 자체 줄기나 잎에 많은 수분을 저장, 흰깍지벌레르 ㄹ조심
- 수생식물 : 진흙에 살거나 물에 살거나 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수경재배와는 다르다, 그냥 재배 방식이 물인거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수경재배 시 영양 부족할 수 있어 수용성 영양제 사용, 물 자주 갈아주기
- 틸란드시아(CAM대사 식물)

 

 

* 기본 겉핥기

* 테라리움, 행잉플랜트 등 핫한 플랜테리어에 대해 이런게 있구나 하고 알게됨.

* 각 공간의 특성에 따른 추천 식물에 대한 가이드가 잘 되어있어서 유익했다.

 

자세한 정보는 따로 기록해둔 것을 확인할 것:)